갑자기 인터넷이 안될때? 집에서 스스로 해결하는 방법

인터넷 공유기


인터넷은 이제 우리 삶에서 전기처럼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인프라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인터넷이 끊기면 당황스러울 수 밖에 없지요.
와이파이가 안잡혀요,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아요 라는 상황,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것입니다.
그럴 때 무작정 기사님을 부르기 전에 집에서 먼저 점검해 볼 수 있는 방법들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생각보다 간단한 문제인 경우가 많아 직접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모든 기기에서 인터넷이 안 되는가?

먼저 확인할 것은 인터넷이 모든 기기에서 안 되는지, 아니면 특정 기기에서만 안 되는지입니다.

  • 휴대폰은 되는데 노트북은 안됨 → 기기 문제 가능성
  • 휴대폰, 노트북, TV 등 모두 인터넷이 안 됨 → 공유기나 회선 문제 가능성

문제의 범위를 좁히면 원인을 파악하기 쉬워집니다.

2. 공유기/모뎀 전원 껐다 켜기 (가장 먼저 할 것)

가정 내 인터넷 연결 문제의 50% 이상은 단순한 공유기/모뎀의 일시적인 오류로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

  • 공유기와 모뎀의 전원 케이블을 모두 뽑습니다.
  • 20~30초 정도 기다립니다.
  • 다시 전원 케이블을 꽂고 1~2분 기다려 인터넷 연결을 확인합니다.

공유기나 모뎀은 장시간 켜져 있으면 내부 발열로 오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한 번 씩 껐다 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케이블 연결 상태 확인

공유기나 모뎀의 케이블이 느슨하거나 빠져 있는 경우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습니다.

점검할 부분

  • 인터넷 선(LAN 케이블)이 공유기/모뎀에 제대로 꽂혀 있는가?
  • 전원 어댑터가 흔들림 없이 꽉 연결되어 있는가?
  • 광케이블의 경우 모뎀 뒷면에 광신호 없음 등의 빨간 불이 켜졌는가?

케이블을 한 번씩 뺐다가 꽉 눌러 다시 꽂아주면 연결이 복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와이파이 신호가 약하거나 안 잡히는 경우

인터넷 회선은 문제없는데 와이파이만 안 되는 상황이라면?

점검 사항

  • 스마트폰 설정에서 와이파이 연결이 켜져 있는지 확인
  • 공유기 근처에서 와이파이가 잡히는지 확인
  • 비밀번호가 바뀌었거나 설정이 초기화되었는지 점검

신호가 약한 경우 해결법

  • 공유기를 집 중앙에 위치시키기
  • 전파 방해 요소(전자렌지, 벽 등) 피하기
  • 중계기 설치 고려



5. 특정 기기에서만 인터넷 안 되는 경우

노트북, 스마트폰 등 특정 기기에서만 인터넷이 안 되는 경우에는 아래를 점검하세요.

점검 방법

  • 기기에서 비행기 모드가 켜져 있는지 확인
  • 와이파이 껐다가 다시 켜기
  • 기기를 재부팅하기
  •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시도



6. DNS 오류일 가능성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이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DNS 서버 응답 없음 이라는 메시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 DNS 설정 문제입니다.

윈도우에서 DNS 수동 설정하는 법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
  • 사용 중인 네트워크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TCP/IPv4) 더블클릭
  •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선택

DNS를 바꾸면 웹사이트 접속 문제나 느린 인터넷 속도도 개선될 수 있습니다.



7. 공유기 설정 초기화 (최후의 수단)

모든 시도를 했는데도 안 된다면 공유기 설정 자체가 꼬였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공유기 뒷면에 있는 리셋 버튼으로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주의! 이 작업을 하면 와이파이 이름, 비밀번호 등이 모두 초기화되니 반드시 주의하세요.

초기화 방법

  • 공유기 뒷면의 작은 구면(RESET)을 10초 이상 누름
  • 공유기 재부팅됨
  • 기본 와이파이명으로 다시 연결 (공유기 스티커에 표시)

초기화 후에는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다시 와이파이 설정을 해야 합니다.
인터넷 주소창에 192.168.0.1 또는 192.168.1.1로 접속하면 됩니다.

8. 인터넷 회선 자체 문제 확인

공유기도 문제없고 기기에서도 이상이 없다면, 인터넷 회선 자체 문제일 수 있습니다.

확인 방법

  • 같은 지역에서 다른 사람도 인터넷이 안 되는지 확인
  • 통신사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장애 여부 문의
  • 통신사 앱에서 장애 여부 확인 기능 이용

일시적인 지역 장애라면 대기만으로 복구되기도 합니다.

인터넷이 안 된다고 무조건 고장인가? 하고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지금 알려드린 방법들만 따라 해도 대부분의 상황은 집에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유기 전원 껐다 켜기, 케이블 점검, DNS 변경 등은 누구나 할 수 있으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니 꼭 기억해 두세요